■ 진행 : 이현웅 앵커, 조예진 앵커 <br />■ 출연 : 서은숙 상명대 경제금융학부 교수 <br /> <br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START]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br /> <br />◇앵커> 우리나라도 시한이 얼마 남지 않아서 이번 주 안에 소식이 들려오느냐에 집중되고 있습니다. 구윤철 경제부총리가 오늘 출국한다고 하고요. 오는 31일에 베센트 장관과 협상에 들어간다고 하는데 이 자리에서 최종 결과가 나오는 겁니까? <br /> <br />◆서은숙> 굉장히 어려운 상황이에요. 미국에 머물고 있던 김정관 산업부 장관하고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미 협상단 일정에 맞춰서 통상교섭, 물밑작업을 하고 있는 거든요. 총력협상모드에 들어갔다고 볼 수 있죠. 지난주에는 워싱턴에서 협상하다가 미국 협상단이 유럽 스코틀랜드로 이동하니까 거기로 한국이 이동해서 현지에서 최종 협상을 진행 중에 있거든요. 우리가 제시한 제안은 미국의 트럼프 행정부가 메가라는 슬로건을 만들었죠. 메가가 S를 하나 붙였어요. 이 말은 뭐냐 하면 조선업에 특화해서 기술 지원부터 해서 투자를 하겠다고 하는 전략을 갖고 가고 있거든요. <br /> <br />다른 나라하고 다르게 미국 현지 조선소 투자와 일자리 창출을 같이 만들어 나가겠다고 하는. 그러니까 미국하고 동맹 관계에서 이런 부분들을 강화시킨다는 차원에서 EU, 일본하고 다른 전략으로 접근하고 있다라고 볼 수 있거든요. 그래서 이 부분에 관한 내용이 진행되고 있죠. 마스가 전략이라고 하는 것이 아까 얘기한 것처럼 미국의 조선업이 굉장히 노후됐거든요. 기술도 거의 없고. 그러다 보니까 첨단조선기술을 이전해 주고 그다음에 미국 조선산업의 재건을 지원하는 약속을 하는 프로젝트입니다. 한국 수출입은행하고 무역보험공사가 금융지원을 굉장히 많이 하죠. 수백 억 달러, 우리나라 돈으로 수십 조원이 정부가 보증하는 지원으로 같이 들어가는 내용이거든요. <br /> <br />그래서 이걸 우리가 하겠다. 기술인력도 교류하고 공동 조선소도 건설 운영하고. 특히 제일 중요한 거는 이걸 함으로써 미국의 군함 유지, 보수, 정비 협력까지 포함한 종합 협력 구상을 제안하고 있거든요. 이게 받아들여지면 굉장히 좋은데 어떻게 보면 미국이 일본, 유럽과 협상을 한 사례가 있잖아요. 15%를 했단 말이에요. 그러다 보니까 미국은 우리한테 이거 외에도... (중략)<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34_202507290750367955<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